1. 낸드 플래시(NAND flash), 디램(DRAM)의 비교
낸드 플래시와 디램은 모두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,
"많은 데이터"를 저장하고, "데이터를 빠르게 읽고, 쓰는" 능력이 중요하다.
반도체 산업의 핵심은,
“고집적화“ 를 도모하면서도,
“구조적안정성“과
도전성을 가지는 구성들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“정확성”을 도모하는 것이다.
전원 OFF 시 데이터 저장 여부 | 데이터 저장 위치 | 1 Cell 기본 구조 | |
낸드 플래시(NAND flash) | 데이터 저장O / 비휘발성 메모리 | 플로팅 게이트 | 1Tr + FG(floating gate) |
디램(DRAM) | 데이터 저장X / 휘발성 메모리 | 캐패시터 | 1Tr + 1Cap |
2. 낸드 플래시(NAND flash)의 구조 및 동작 원리
- 낸드 플래시는 트랜지스터 + 플로팅 게이트의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한다.
- 낸드 플래시의 플로팅 게이트는 절연막으로, 전자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전자를 묶어두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, 낸드 플래시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기능할 수 있다.
- 낸드 플래시의 탑 게이트(TG)에 높은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면,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서 전자가 Tunnel oxidation (터널 절연막)을 터널링해서 플로팅 게이트에 쌓이게 된다.
- 낸드 플래시의 탑 게이트(TG)에 높은 게이트 전압을 인가해서, 전자가 Tunnel oxidation (터널 절연막)을 터널링해서 플로팅 게이트에 쌓이게 된 상태가 데이터 “1”로 저장된다.
- 반대로, 낸드 플래시의 탑 게이트(TG)에 낮은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면, 전자가 터널 절연막을 터널링해서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.
- 반대로, 낸드 플래시의 탑 게이트(TG)에 낮은 게이트 전압을 인가해서 전자가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빠져나간 상태가 데이터 “0”으로 저장된다.
- 간단하게 물질을 살펴보면,
- 플로팅 게이트는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고,
- 터널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,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,
- ONO는 산화막-질화막-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.
- 플로팅 게이트는, 전하를 잡아둔다 하여 “전하 트랩(trap)막” 이라는 용어로도 많이 사용된다.
'반도체 산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변리사가 알려주는 반도체 공정] 반도체 패키징 - 하이브리드 본딩이 뜬다고? Hybrid bonding 이란?! (0) | 2023.08.03 |
---|---|
[변리사가 알려주는 반도체 공정] # 포토레지스트 공정 - PAG, PDQ, quencher, ArF, EUV? (0) | 2023.07.26 |
[변리사가 알려주는 반도체 공정] 디램(DRAM)의 구조 및 동작 원리, 앞으로의 디램 산업? (1) | 2023.07.13 |